LLM의 강점: 자연어 이해, 의도 파악, 추론
오일러 방법의 강점: 안정적 수치 계산, 단계별 접근, 검증된 신뢰성
이 둘의 조합은 직관적 소통 + 정확한 실행이라는 로봇 티칭의 이상향을 실현합니다.
(그림: 오일러 적분법의 그래픽 표현 - 출처: https://x-engineer.org/euler-integration/)
기존 방식:
# 복잡한 수학 공식과 매개변수 설정 필요
trajectory = polynomial_interpolation(
start=[x1, y1, z1],
end=[x2, y2, z2],
via_points=[[x3,y3,z3], [x4,y4,z4]],
velocity_profile="quintic",
acceleration_limits=[a1, a2, a3]
)
LLM + 오일러 방식:
def natural_language_trajectory(instruction):
# 1단계: LLM이 자연어를 해석
parsed_intent = llm.parse_instruction(instruction)
# "부드럽게" → smooth=True, speed="moderate"
# "A에서 B로" → start_point=A, end_point=B
# 2단계: 오일러 방법으로 안정적 궤적 생성
trajectory = euler_trajectory_generator(
start=parsed_intent.start_point,
end=parsed_intent.end_point,
smoothness=parsed_intent.smoothness,
constraints=parsed_intent.constraints
)
# 3단계: LLM이 결과를 자연어로 설명
explanation = llm.explain_trajectory(trajectory)
return trajectory, explanation
# 사용 예시
user_input = "테이블 위 컵을 조심스럽게 집어서 싱크대로 옮겨줘"
trajectory, explanation = natural_language_trajectory(user_input)
print(explanation)
# "테이블 위 컵 위치에서 시작하여, 충돌을 피하면서
# 천천히 상승한 후 싱크대로 이동하는 경로를 계획했습니다."
class ConversationalRobotTeacher:
def __init__(self):
self.llm = LanguageModel()
self.euler_engine = EulerTrajectoryEngine()
self.current_trajectory = None
def execute_with_feedback(self, instruction):
# 초기 궤적 생성
self.current_trajectory = self.plan_trajectory(instruction)
while not self.is_task_complete():
# 현재 상황을 자연어로 설명
status = self.describe_current_status()
print(f"로봇: {status}")
# 사용자 피드백 받기
feedback = input("사용자: ")
if feedback:
# LLM이 피드백 해석
adjustment = self.llm.parse_feedback(feedback)
# 오일러 방법으로 궤적 실시간 수정
self.current_trajectory = self.euler_engine.adjust_trajectory(
current_trajectory=self.current_trajectory,
adjustment=adjustment,
current_position=self.robot.get_position()
)
print(f"로봇: 경로를 수정했습니다. {adjustment}")
def describe_current_status(self):
pos = self.robot.get_position()
target = self.current_trajectory.get_next_waypoint()
status_prompt = f"""
현재 위치: {pos}
목표 지점: {target}
진행률: {self.get_progress()}%
현재 상황을 자연스럽게 설명해주세요.
"""
return self.llm.generate(status_prompt)
# 실행 예시
teacher = ConversationalRobotTeacher()
teacher.execute_with_feedback("박스를 선반에 정리해줘")
# 대화 예시:
# 로봇: "박스를 집어서 선반 쪽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 사용자: "좀 더 높이 올려줘"
# 로봇: "경로를 수정했습니다. 높이를 20cm 더 올려서 이동합니다."
class IntelligentExceptionHandler:
def handle_unexpected_situation(self, sensor_data, current_task):
# 1단계: 상황 분석 및 자연어 설명
situation_description = self.llm.analyze_situation(
sensor_data=sensor_data,
current_task=current_task
)
print(f"상황 인식: {situation_description}")
# 2단계: 가능한 대응 방안들을 LLM이 제안
response_options = self.llm.generate_response_options(
situation=situation_description,
safety_constraints=self.safety_rules,
task_requirements=current_task
)
# 3단계: 각 옵션을 오일러 방법으로 시뮬레이션
best_option = None
best_score = 0
for option in response_options:
# 오일러 방법으로 궤적 시뮬레이션
simulated_trajectory = self.euler_engine.simulate_trajectory(
option.action_plan,
current_state=self.robot.get_current_state(),
time_horizon=option.estimated_time
)
# 안전성 및 효율성 평가
score = self.evaluate_trajectory(
simulated_trajectory,
safety_weight=0.8, # 안전이 최우선
efficiency_weight=0.2
)
if score > best_score:
best_option = option
best_score = score
# 4단계: 선택된 대응 방안 실행 및 설명
explanation = self.llm.explain_decision(
chosen_option=best_option,
reasoning=f"안전성 {best_score*0.8:.2f}, 효율성 {best_score*0.2:.2f}"
)
print(f"대응 방안: {explanation}")
return best_option.action_plan
# 상황 예시
# 센서 감지: "작업 중 사람이 접근"
# LLM 분석: "안전을 위해 작업을 일시 중단하고 안전한 위치로 이동이 필요합니다."
# 오일러 시뮬레이션: 5가지 회피 경로 중 최적안 선택
# 실행: "사람이 지나갈 때까지 안전 위치에서 대기합니다."
class LearningSkillLibrary:
def __init__(self):
self.skill_database = {}
self.llm = LanguageModel()
self.euler_optimizer = EulerOptimizer()
def learn_new_skill(self, demonstration, user_feedback):
# 1단계: LLM이 시연 내용을 분석하고 패턴 추출
skill_pattern = self.llm.extract_skill_pattern(
demonstration=demonstration,
context=self.get_current_context()
)
# 2단계: 오일러 방법으로 최적화된 궤적 생성
optimized_trajectory = self.euler_optimizer.optimize_trajectory(
base_trajectory=skill_pattern.trajectory,
optimization_criteria={
'smoothness': 0.4,
'speed': 0.3,
'energy_efficiency': 0.3
}
)
# 3단계: 자연어로 스킬 설명 생성
skill_description = self.llm.generate_skill_description(
trajectory=optimized_trajectory,
context=skill_pattern.context,
user_feedback=user_feedback
)
# 4단계: 스킬 라이브러리에 저장
skill_name = self.llm.generate_skill_name(skill_description)
self.skill_database[skill_name] = {
'description': skill_description,
'trajectory': optimized_trajectory,
'usage_count': 0,
'success_rate': 1.0,
'variations': [skill_pattern]
}
print(f"새로운 스킬 학습 완료: '{skill_name}'")
print(f"설명: {skill_description}")
def suggest_skill_improvement(self, skill_name, performance_data):
current_skill = self.skill_database[skill_name]
# LLM이 성능 데이터 분석
improvement_analysis = self.llm.analyze_performance(
skill=current_skill,
performance_data=performance_data
)
# 오일러 방법으로 개선된 궤적 생성
improved_trajectory = self.euler_optimizer.improve_trajectory(
original=current_skill['trajectory'],
improvement_targets=improvement_analysis.targets
)
return {
'analysis': improvement_analysis.summary,
'improved_trajectory': improved_trajectory,
'expected_improvement': improvement_analysis.expected_gain
}
# 사용 예시
library = LearningSkillLibrary()
# 새로운 스킬 학습
demo_data = record_demonstration("컵 잡기")
feedback = "더 부드럽게 접근해주세요"
library.learn_new_skill(demo_data, feedback)
# 결과: "부드러운_컵_집기" 스킬이 라이브러리에 추가됨
class MultimodalRobotTeacher:
def __init__(self):
self.vision_llm = VisionLanguageModel() # GPT-4V 등
self.speech_llm = SpeechLanguageModel()
self.euler_planner = EulerMotionPlanner()
def process_multimodal_instruction(self,
voice_command=None,
visual_context=None,
gesture_data=None):
# 1단계: 각 모달리티별 정보 추출
contexts = {}
if voice_command:
contexts['voice'] = self.speech_llm.transcribe_and_analyze(voice_command)
if visual_context:
contexts['vision'] = self.vision_llm.describe_scene(visual_context)
if gesture_data:
contexts['gesture'] = self.analyze_gesture(gesture_data)
# 2단계: LLM이 통합 의도 파악
integrated_intent = self.llm.integrate_multimodal_contexts(contexts)
# 3단계: 오일러 방법으로 실행 계획 수립
execution_plan = self.euler_planner.generate_plan(
intent=integrated_intent,
environmental_constraints=contexts['vision'],
user_preferences=contexts['voice']
)
# 4단계: 계획을 자연어로 확인
confirmation = self.llm.generate_confirmation(
plan=execution_plan,
original_contexts=contexts
)
return execution_plan, confirmation
# 실행 예시
teacher = MultimodalRobotTeacher()
# 음성: "저기 빨간 컵을 집어줘"
# 시각: 테이블 위 여러 객체들이 보이는 이미지
# 제스처: 특정 위치를 가리키는 손동작
plan, confirmation = teacher.process_multimodal_instruction(
voice_command="저기 빨간 컵을 집어줘",
visual_context=camera_image,
gesture_data=pointing_gesture
)
print(confirmation)
# "테이블 왼쪽에 있는 빨간 컵을 집으라는 명령으로 이해했습니다.
# 다른 물건들을 피해서 부드럽게 접근하겠습니다."
class PerformanceOptimizer:
def __init__(self):
self.performance_analyzer = LLMPerformanceAnalyzer()
self.euler_optimizer = EulerTrajectoryOptimizer()
self.feedback_collector = FeedbackCollector()
def continuous_optimization_loop(self):
while True:
# 1단계: 성능 데이터 수집
performance_data = self.collect_performance_metrics()
# 2단계: LLM이 성능 분석 및 개선점 식별
analysis = self.performance_analyzer.analyze(
performance_data=performance_data,
user_feedback=self.feedback_collector.get_recent_feedback(),
success_metrics=self.get_success_metrics()
)
if analysis.improvement_needed:
# 3단계: 오일러 방법으로 궤적 최적화
optimization_targets = analysis.optimization_targets
improved_trajectories = {}
for skill_name, target in optimization_targets.items():
current_trajectory = self.get_skill_trajectory(skill_name)
improved = self.euler_optimizer.optimize(
trajectory=current_trajectory,
target_metrics=target,
constraints=self.get_safety_constraints()
)
improved_trajectories[skill_name] = improved
# 4단계: A/B 테스트로 성능 검증
validation_results = self.validate_improvements(
improved_trajectories
)
# 5단계: 개선 사항을 자연어로 보고
improvement_report = self.performance_analyzer.generate_report(
validation_results=validation_results,
applied_optimizations=optimization_targets
)
print(f"성능 개선 보고서:\n{improvement_report}")
# 승인된 개선사항만 적용
self.apply_approved_improvements(validation_results)
time.sleep(3600) # 1시간마다 최적화 실행
def collect_performance_metrics(self):
return {
'trajectory_smoothness': self.measure_smoothness(),
'execution_time': self.measure_execution_time(),
'energy_consumption': self.measure_energy_usage(),
'user_satisfaction': self.feedback_collector.get_satisfaction_score(),
'success_rate': self.calculate_success_rate(),
'safety_incidents': self.count_safety_incidents()
}
# 실행 결과 예시:
# "지난 주 대비 궤적 부드러움 15% 향상, 실행 시간 8% 단축
# 사용자 만족도 92%로 상승. '정밀_조립' 스킬의 성공률이
# 98%로 개선되었습니다."
class LLMEulerRobotSystem:
def __init__(self):
# 핵심 컴포넌트
self.llm_processor = LLMProcessor() # 자연어 처리
self.euler_engine = EulerMotionEngine() # 궤적 계산
self.multimodal_interface = MultimodalInterface() # 입출력
self.skill_library = LearningSkillLibrary() # 스킬 관리
self.safety_monitor = SafetyMonitor() # 안전 감시
self.performance_optimizer = PerformanceOptimizer() # 성능 최적화
# 통합 워크플로우
self.workflow_manager = WorkflowManager()
def process_user_request(self, request):
"""통합 처리 파이프라인"""
try:
# 1. 멀티모달 입력 처리
parsed_request = self.multimodal_interface.parse_input(request)
# 2. LLM이 의도 이해 및 계획 수립
task_plan = self.llm_processor.understand_and_plan(parsed_request)
# 3. 안전성 검증
safety_check = self.safety_monitor.validate_plan(task_plan)
if not safety_check.is_safe:
return self.handle_safety_concern(safety_check)
# 4. 오일러 방법으로 궤적 생성
trajectory = self.euler_engine.generate_trajectory(
task_plan=task_plan,
current_state=self.get_robot_state(),
environmental_constraints=self.get_environment_state()
)
# 5. 실행 및 모니터링
execution_result = self.execute_with_monitoring(trajectory)
# 6. 경험 학습 및 피드백
self.skill_library.update_from_experience(
task_plan=task_plan,
trajectory=trajectory,
execution_result=execution_result
)
# 7. 자연어 응답 생성
response = self.llm_processor.generate_response(
execution_result=execution_result,
original_request=parsed_request
)
return response
except Exception as e:
return self.handle_error(e, request)
def start_system(self):
"""시스템 시작"""
print("🤖 LLM + 오일러 로봇 티칭 시스템 시작")
print("💬 자연어로 명령해주세요...")
# 백그라운드 최적화 프로세스 시작
self.performance_optimizer.start_optimization_loop()
# 메인 대화 루프
while True:
user_input = self.multimodal_interface.get_user_input()
response = self.process_user_request(user_input)
print(f"🤖: {response}")
# 시스템 실행
if __name__ == "__main__":
robot_system = LLMEulerRobotSystem()
robot_system.start_system()
시나리오 1: 자동차 부품 조립
사용자: "엔진 블록에 볼트 8개를 순서대로 조립해줘"
LLM 이해: 순차 조립 + 토크 규격 준수 + 품질 검증
오일러 계산: 최적 접근 각도 + 부드러운 회전 궤적
실행 결과: 조립 시간 30% 단축, 불량률 0%
시나리오 2: 전자제품 검사
사용자: "PCB 기판의 납땜 상태를 꼼꼼히 검사해줘"
LLM 이해: 정밀 검사 + 다각도 관찰 + 이상 감지
오일러 계산: 진동 최소화 궤적 + 최적 촬영 위치
실행 결과: 검사 정확도 99.8%, 검사 시간 50% 단축
효율성 향상:
안전성 강화:
접근성 개선:
LLM + 오일러 방법의 조합은 단순한 기술 융합을 넘어 로봇과 인간의 협업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킵니다.
🎯 핵심 가치:
이는 Hidden Figures에서 캐서린 존슨이 보여준 것처럼, 오래된 지혜와 현대 기술의 만남이 얼마나 강력한 혁신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증명하는 완벽한 사례입니다.
250년 전 오일러의 수학이 오늘날 LLM과 만나 제조업의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기업 홍보를 위한 확실한 방법
협회 홈페이지에 회사정보를 보강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