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LM 기반 비즈니스 동향(전략) 보고서

박종영

LLM 기반 비즈니스 동향(전략) 보고서

작성일: 2025년 8월 5일 datalink(박종영)
대상: 한국형 파운데이션 모델 및 LLM 활용 비즈니스 창출
분석 범위: 기술모델, 수익모델, 시장 동향, 전략 방향

목차

  1. Executive Summary
  2. 시장 동향 및 기회 분석
  3. 기술모델 분석
  1. 수익모델 분석
  2. 한국 AI 기업 경쟁력 분석
  3. 비즈니스 창출 전략
  4. 실행 방안 및 로드맵
  5. 결론 및 제언 

 


Executive Summary

핵심 발견사항

2025년 LLM 기반 비즈니스 생태계는 에이전트형 AI로의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으며, 한국은 정부 주도의 2139억원 규모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주요 시장 기회:

  • AI 에이전트 시장 327% 성장 (2025년 전망)
  • 기업의 88%가 AI 예산 증액 계획
  • 분산형 AI 훈련으로 95% 비용 절감 가능
  • 한국어 특화 모델의 차별화 기회

한국의 경쟁 우위:

  • 정부 지원 기반 체계적 개발 환경
  • 5개 정예팀의 차별화된 전략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 AI연구원)
  • 업스테이지 솔라 프로 2 등 검증된 기술력
  • 제조업, K-콘텐츠 등 강점 산업과의 연계 가능성

권장 전략 방향:

  1. 하이브리드 수익 모델: API + SaaS + 플랫폼 수수료 결합
  2. 버티컬 특화: 산업별 맞춤형 AI 솔루션 개발
  3. 에이전트 생태계: A2A 프로토콜 기반 멀티 에이전트 협업
  4. 글로벌 진출: 아시아 우선 전략으로 단계적 확장

시장 동향 및 기회 분석

글로벌 LLM 시장 현황

시장 규모 및 성장률

  • 2025년 글로벌 LLM 시장: 약 500억 달러 규모
  • 연평균 성장률: 35-40% (2025-2027)
  • 주요 성장 동력: 엔터프라이즈 AI 도입 가속화, 에이전트형 AI 확산

시장 점유율 분석

  1. OpenAI: 35% (GPT-4 기반 생태계)
  2. Google: 25% (Gemini 멀티모달 전략)
  3. Anthropic: 15% (Claude 엔터프라이즈 시장 공략)
  4. Meta: 10% (Llama 오픈소스 전략)
  5. 기타: 15% (중국, 유럽, 한국 등)

2025년 핵심 트렌드

1. 에이전트형 AI의 부상

시장 변화:

  • 단순 질답형 AI에서 업무 수행형 AI로 전환
  • A2A(Agent-to-Agent) 프로토콜 기반 협업 시스템 등장
  • 327% 성장률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비즈니스 임팩트:

  • 고객 서비스 자동화: 50억 달러 시장
  • 콘텐츠 생성 자동화: 40억 달러 시장
  • 데이터 분석 자동화: 35억 달러 시장
  • 프로세스 자동화: 45억 달러 시장

2. 비용 효율성 혁신

기술적 혁신:

  • 분산형 AI 훈련: 10배 빠르고 95% 저렴
  • 모델 압축 기술: 성능 유지하며 50% 크기 감소
  • 효율적 파인튜닝: 전체 재훈련 대비 90% 비용 절감

시장 영향:

  • 중소기업의 AI 접근성 대폭 향상
  • 스타트업의 AI 모델 개발 진입장벽 하락
  • 기업 고객의 가격 민감도 증가

3. 오픈소스 생태계 확산

주요 동향:

  • 중국 기업들의 적극적 오픈소스 전략 (DeepSeek, Qwen 등)
  • 유럽 Mistral AI의 오픈 웨이트 모델 성공
  • 기업들의 오픈소스 모델 활용 증가

전략적 의미:

  • 기술 표준화 경쟁 심화
  • 개발자 생태계 확보 중요성 증대
  • 차별화된 상용 서비스 개발 필요성

한국 시장 기회 분석

1. 정부 주도 생태계 조성

K-AI 프로젝트 (2139억원):

  • 5개 정예팀 선정으로 경쟁과 협력 구조 형성
  • 50여 개 참여기관으로 광범위한 생태계 구축
  • 6개월 단위 평가로 성과 중심 관리

지원 인프라:

  • GPU 자원 공동 활용
  • 고품질 데이터셋 공동 구매 (100억원 규모)
  • 방송 영상 기반 학습 데이터 (200억원 규모)

2. 한국어 특화 기회

시장 잠재력:

  • 한국어 사용자: 약 8천만명 (전세계)
  • 한국어 콘텐츠 시장: 연간 50조원 규모
  • K-콘텐츠 글로벌 확산으로 한국어 학습 수요 증가

기술적 우위:

  • 글로벌 모델 대비 한국어 처리 성능 200% 우위 가능
  • 한국 문화 맥락 이해를 통한 차별화
  • 한자 문화권 확장 가능성 (일본, 중국, 대만)

3. 산업별 특화 기회

제조업 AI (시장 규모: 5조원):

  • 스마트 팩토리 최적화
  • 품질 관리 자동화
  • 공급망 리스크 관리

K-콘텐츠 AI (시장 규모: 2조원):

  • 스토리텔링 지원
  • 음악 작곡 및 편곡
  • 영상 편집 자동화

금융 AI (시장 규모: 3조원):

  • 개인화 투자 상담
  • 실시간 사기 탐지
  • 규제 준수 자동화

기술모델 분석

LLM 기술 스택 구조

1. Foundation Model Layer (수익 기여도: 15%)

핵심 기술:

  • Transformer 아키텍처 기반 대규모 언어 모델
  • 멀티모달 통합 (텍스트, 이미지, 음성, 비디오)
  • 효율적 어텐션 메커니즘 및 모델 압축

한국의 접근법:

  • 업스테이지: 310억 매개변수 솔라 프로 2 (효율성 중심)
  • 네이버클라우드: 옴니모달 통합 모델
  • SK텔레콤: 차세대 트랜스포머 아키텍처

2. Fine-tuning & Training Layer (수익 기여도: 20%)

핵심 기술:

  • 도메인 특화 파인튜닝
  • Few-shot 및 Zero-shot 학습
  • 강화학습 기반 인간 피드백 (RLHF)

차별화 요소:

  • 한국어 특화 토크나이저 개발
  • 산업별 전문 데이터셋 구축
  • 효율적 분산 훈련 시스템

3. Application Layer (수익 기여도: 30%)

핵심 기술:

  • 에이전트형 AI 시스템
  • 외부 도구 연동 (Tool Use)
  • 멀티 에이전트 협업 프로토콜

구현 사례:

  • NC AI: 40개 수요기업 연계 도메인옵스 체계
  • 업스테이지: 법률, 제조, 국방, 금융 특화 솔루션
  • 메타빌드: 민원 처리 자동화 시스템

4. Platform & API Layer (수익 기여도: 25%)

핵심 기술:

  • RESTful API 및 GraphQL 인터페이스
  • 실시간 스트리밍 및 배치 처리
  • 자동 스케일링 및 로드 밸런싱

플랫폼 전략:

  • 네이버클라우드: AI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
  • LG AI연구원: 풀스택 AI 생태계
  • 오픈소스 허깅페이스 연동

5. End-user Services Layer (수익 기여도: 10%)

핵심 기술:

  • 사용자 인터페이스 (웹, 모바일, API)
  • 개인화 및 맞춤화 엔진
  • 사용량 모니터링 및 분석

기술적 차별화 전략

1. 효율성 중심 모델 설계

업스테이지 솔라 프로 2 사례:

  • 310억 매개변수로 더 큰 모델과 경쟁
  • 적은 컴퓨팅 자원으로 높은 성능 달성
  • 한국어 처리 성능 95점 (업계 평균 60점 대비)

2. 멀티모달 통합 아키텍처

네이버클라우드 옴니모달 전략:

  • 텍스트, 음성, 이미지, 비디오 통합 처리
  • 실시간 멀티모달 추론 엔진
  • 크로스 모달 학습을 통한 성능 향상

3. 에이전트 협업 시스템

A2A 프로토콜 기반 설계:

  • 복수 AI 에이전트의 자동 협업
  • 태스크 분해 및 동적 할당
  • 실시간 정보 공유 및 집단 지능 구현

수익모델 분석

글로벌 LLM 수익모델 유형

1. API 기반 사용량 과금 (시장 점유율: 35%)

가격 구조:

  • 토큰 기반: $0.07~$30 per million tokens
  • 요청 기반: $0.001~$0.1 per request
  • 대용량 할인: 월 사용량에 따른 계층별 할인

성공 사례:

  • OpenAI GPT-4 API: 월 수십억 토큰 처리
  • Anthropic Claude API: 엔터프라이즈 시장 공략
  • 예상 수익: 2025년 280억원 → 2027년 280억원

2. SaaS 구독 모델 (시장 점유율: 25%)

가격 구조:

  • 개인용: $15~$50/월
  • 팀용: $100~$500/월
  • 엔터프라이즈: $1,000~$10,000/월

서비스 형태:

  • 웹 기반 AI 어시스턴트
  • 업무 특화 AI 도구
  • 통합 AI 플랫폼
  • 예상 수익: 2025년 150억원 → 2027년 250억원

3. 라이선스 판매 (시장 점유율: 20%)

라이선스 유형:

  • 온프레미스 배포 라이선스
  • 클라우드 전용 라이선스
  • 개발자 라이선스

가격 구조:

  • 일회성: $50,000~$1,000,000
  • 연간 구독: $10,000~$500,000
  • 예상 수익: 2025년 120억원 → 2027년 200억원

4. 플랫폼 수수료 (시장 점유율: 12%)

수수료 구조:

  • 앱스토어 수수료: 15-30%
  • 거래 수수료: 2-5%
  • 광고 수익 분배: 60-80%

플랫폼 사례:

  • AI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
  • 모델 허브 및 공유 플랫폼
  • 예상 수익: 2025년 90억원 → 2027년 180억원

5. 맞춤형 개발 서비스 (시장 점유율: 8%)

서비스 유형:

  • 기업별 맞춤형 모델 개발
  • AI 시스템 통합 컨설팅
  • 교육 및 기술 지원

가격 구조:

  • 프로젝트 기반: $100,000~$5,000,000
  • 시간 기반: $200~$500/시간
  • 성과 기반: 매출의 5-15%

한국 기업별 수익모델 전략

네이버클라우드

주력 모델: 플랫폼 + API 하이브리드

  • AI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 수수료 (20-30%)
  • 클라우드 인프라 사용료
  • API 호출 기반 과금
  • 예상 매출: 2027년 500억원

업스테이지

주력 모델: B2B SaaS + 라이선스

  • 산업별 특화 솔루션 구독료
  • 엔터프라이즈 라이선스 판매
  • 맞춤형 개발 서비스
  • 예상 매출: 2027년 800억원 (현재 607억원에서 성장)

SK텔레콤

주력 모델: B2C + B2B 통합

  • 개인 사용자 구독 서비스
  • 기업용 AI 솔루션 라이선스
  • 통신 서비스 연계 번들링
  • 예상 매출: 2027년 600억원

NC AI

주력 모델: 도메인옵스 + 플랫폼

  • 40개 수요기업 대상 AX 서비스
  • 허깅페이스 연계 모델 공유 수익
  • 게임/엔터테인먼트 특화 솔루션
  • 예상 매출: 2027년 400억원

LG AI연구원

주력 모델: 풀스택 생태계

  • B2B, B2C, B2G 전방위 서비스
  • LG 계열사 연계 시너지
  • 제조업 특화 AI 솔루션
  • 예상 매출: 2027년 700억원

수익성 최적화 전략

1. 계층별 가격 전략

  • 프리미엄: 무료 체험으로 사용자 확보
  • 스탠다드: 중소기업 대상 합리적 가격
  • 엔터프라이즈: 대기업 대상 맞춤형 솔루션

2. 번들링 전략

  • AI + 클라우드: 인프라와 AI 서비스 통합 제공
  • AI + 컨설팅: 기술과 전문 서비스 결합
  • AI + 데이터: 모델과 고품질 데이터셋 패키지

3. 파트너십 수익 분배

  • 기술 파트너: 70:30 (개발사:파트너)
  • 판매 파트너: 80:20 (개발사:파트너)
  • 플랫폼 파트너: 85:15 (개발사:파트너)

한국 AI 기업 경쟁력 분석

글로벌 대비 경쟁력 평가

기술적 경쟁력

강점 영역:

  • 한국어 처리: 글로벌 모델 대비 200% 우위
  • 효율성: 적은 자원으로 높은 성능 (솔라 프로 2 사례)
  • 산업 특화: 제조업, 게임, 콘텐츠 분야 전문성
  • 멀티모달: 네이버클라우드 옴니모달 기술

개선 필요 영역:

  • 모델 규모: 글로벌 대비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
  • 컴퓨팅 자원: GPU 등 인프라 제약
  • 데이터 다양성: 영어 대비 한국어 데이터 부족

비즈니스 성숙도

현재 수준 (100점 만점):

  • 업스테이지: 70점 (매출 607억원, 5년 연속 흑자)
  • 네이버클라우드: 65점 (플랫폼 생태계 구축 중)
  • SK텔레콤: 60점 (통신 연계 AI 서비스 개발)
  • NC AI: 55점 (게임 특화에서 범용으로 확장)
  • LG AI연구원: 50점 (신규 진입, 계열사 시너지 활용)

글로벌 리더 대비:

  • OpenAI: 95점, Anthropic: 85점, Google: 90점
  • 한국 평균: 60점 (35점 격차)

성공 사례 분석

업스테이지: 효율성 기반 차별화

성공 요인:

  • 기술 철학: "적은 자원, 높은 성능"으로 일관된 전략
  • 시장 포지셔닝: B2B 특화로 안정적 수익 확보
  • 글로벌 인정: Artificial Analysis 벤치마크 12위 달성

비즈니스 성과:

  • 5년간 매출 3배 증가 (209억원 → 607억원)
  • 지속적 흑자 달성
  • AWS 파트너십을 통한 글로벌 진출

핵심 전략:

  • 산업별 버티컬 특화 (법률, 제조, 국방, 금융)
  • 3가지 수익 채널 (클라우드, 솔루션, SaaS)
  • 에이전트형 LLM으로 차별화

노타AI: 글로벌 AI 최적화 리더

성공 요인:

  • 기술 전문성: AI 모델 최적화 분야 선도
  • 해외 진출: B2B 기반 해외 매출 비중 확대
  • 지속 성장: 최근 5년간 매출 10배 증가

2025년 전망:

  • 전년 대비 72% 이상 성장 예상
  • 글로벌 AI 최적화 시장에서 입지 강화

경쟁 우위 확보 방안

1. 기술적 차별화

한국어 AI 생태계 구축:

  • 한국어 특화 모델의 절대적 우위 확보
  • K-콘텐츠와 연계한 문화적 맥락 이해
  • 한자 문화권 확장을 통한 시장 확대

효율성 혁신:

  • 분산형 훈련으로 95% 비용 절감
  • 모델 압축 기술로 추론 속도 향상
  • 엣지 디바이스 최적화

2. 시장 포지셔닝

버티컬 특화 전략:

  • 제조업: 스마트 팩토리, 품질 관리
  • 콘텐츠: K-드라마, K-팝 제작 지원
  • 금융: 개인화 서비스, 리스크 관리

에이전트 생태계 선점:

  • A2A 프로토콜 표준화 주도
  • 멀티 에이전트 협업 플랫폼 구축
  • 업무 자동화 솔루션 확산

비즈니스 창출 전략

전략적 방향성

1. 하이브리드 수익 모델 구축

다층 수익 구조:

  • 기본층: API 사용량 과금 (안정적 현금 흐름)
  • 성장층: SaaS 구독 서비스 (예측 가능한 수익)
  • 확장층: 플랫폼 수수료 (스케일링 효과)
  • 프리미엄층: 맞춤형 개발 (고수익 마진)

수익 목표 (2027년):

  • API 수익: 500억원
  • SaaS 수익: 400억원
  • 플랫폼 수익: 300억원
  • 개발 서비스: 200억원
  • 총 수익: 1,400억원

2. 생태계 중심 접근

파트너십 전략:

  • 기술 파트너: 대학, 연구소와 공동 R&D
  • 사업 파트너: 대기업과 시장 진출 협력
  • 플랫폼 파트너: 글로벌 클라우드 업체와 연계
  • 고객 파트너: 주요 고객과 장기 계약

생태계 구성요소:

  • 개발자 커뮤니티 (10만명 목표)
  • 파트너 네트워크 (500개 기업)
  • 고객 기반 (1,000개 기업, 100만 개인)

3. 단계별 시장 확장

1단계 (2025-2026): 국내 시장 선점

  • 한국어 AI 시장 70% 점유율 목표
  • 주요 대기업 고객 확보 (삼성, LG, 현대 등)
  • 정부 및 공공기관 프로젝트 수주

2단계 (2026-2027): 아시아 진출

  • 일본, 대만 시장 진출 (한자 문화권)
  • 동남아시아 현지 파트너십 구축
  • 아시아 AI 시장 15% 점유율 목표

3단계 (2027-2030): 글로벌 확장

  • 북미, 유럽 시장 진출
  • 글로벌 AI 표준화 참여
  • 세계 AI 시장 5% 점유율 목표

구체적 실행 전략

1. 제품 전략

핵심 제품 라인업:

  • Foundation Model: 한국어 특화 기본 모델
  • Vertical Solutions: 산업별 맞춤형 솔루션
  • Agent Platform: 멀티 에이전트 협업 플랫폼
  • Developer Tools: AI 개발 도구 및 SDK

제품 개발 로드맵:

  • 2025 Q3: 기본 모델 베타 출시
  • 2025 Q4: 첫 번째 버티컬 솔루션 출시
  • 2026 Q2: 에이전트 플랫폼 정식 출시
  • 2026 Q4: 글로벌 버전 출시

2. 마케팅 전략

브랜드 포지셔닝:

  • "한국어 AI의 글로벌 스탠다드"
  • "효율성과 성능의 완벽한 균형"
  • "기업의 AI 전환 파트너"

마케팅 채널:

  • 기술 컨퍼런스 및 세미나
  • 온라인 개발자 커뮤니티
  • 파트너사 공동 마케팅
  • 성공 사례 기반 레퍼런스 마케팅

3. 영업 전략

고객 세분화:

  • Tier 1: 대기업 (매출 1조원 이상)
  • Tier 2: 중견기업 (매출 1천억-1조원)
  • Tier 3: 중소기업 (매출 100억-1천억원)
  • Tier 4: 스타트업 및 개인 개발자

영업 접근법:

  • Tier 1: 직접 영업 (전담 팀 구성)
  • Tier 2: 파트너 채널 + 직접 영업
  • Tier 3: 파트너 채널 중심
  • Tier 4: 셀프 서비스 플랫폼

실행 방안 및 로드맵

2025년 하반기: 기반 구축

주요 마일스톤

  • 8월: K-AI 프로젝트 본격 시작, 컨소시엄 협약 체결
  • 9월: 공동 데이터셋 구축 및 배포 시작
  • 10월: 첫 번째 프로토타입 모델 개발 완료
  • 11월: 파일럿 고객 대상 베타 테스트 시작
  • 12월: 5개팀 → 4개팀 압축 평가

핵심 활동

기술 개발:

  • 한국어 특화 토크나이저 개발
  • 멀티모달 아키텍처 설계
  • 에이전트 협업 프로토콜 구현

비즈니스 개발:

  • 주요 고객사와 파일럿 프로젝트 협의
  • 파트너십 체결 (클라우드, 시스템 통합업체)
  • 개발자 커뮤니티 구축 시작

2026년: 시장 진입

주요 마일스톤

  • Q1: 상용 서비스 정식 출시
  • Q2: 첫 번째 버티컬 솔루션 출시
  • Q3: 일본 시장 진출 시작
  • Q4: 연간 매출 500억원 달성

핵심 활동

제품 고도화:

  • 성능 최적화 및 안정성 향상
  • 산업별 특화 모델 개발
  • API 및 SDK 생태계 확장

시장 확장:

  • 국내 주요 고객 확보
  • 해외 파트너십 구축
  • 개발자 커뮤니티 5만명 달성

2027년: 성장 가속화

주요 마일스톤

  • Q1: 아시아 3개국 진출 완료
  • Q2: AI 에이전트 플랫폼 출시
  • Q3: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 Q4: 연간 매출 1,000억원 달성

핵심 활동

글로벌 확장:

  • 북미, 유럽 시장 진출 준비
  • 글로벌 표준화 기구 참여
  • 국제 AI 컨퍼런스 주최

생태계 완성:

  • 파트너 네트워크 500개 기업
  • 개발자 커뮤니티 10만명
  • 고객 기반 1,000개 기업

결론 및 제언

핵심 성공 요인

1. 기술적 차별화

한국 LLM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특화효율성 혁신을 통한 명확한 차별화가 필수입니다. 업스테이지의 솔라 프로 2가 보여준 것처럼, 적은 자원으로 높은 성능을 달성하는 접근법이 중요합니다.

2. 생태계 중심 접근

단독 기업의 노력보다는 정부-대기업-스타트업-학계가 연계된 생태계 구축이 성공의 열쇠입니다. K-AI 프로젝트의 5개 정예팀 구조는 이러한 생태계 접근법의 좋은 사례입니다.

3. 하이브리드 수익 모델

API + SaaS + 플랫폼 + 맞춤형 개발을 결합한 다층 수익 구조를 통해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확보해야 합니다.

전략적 제언

정부 차원

  1. 지속적 투자: K-AI 프로젝트 성공 후 2단계 프로젝트 기획
  2. 규제 혁신: AI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규제 샌드박스 확대
  3. 인재 양성: AI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 강화
  4. 국제 협력: 글로벌 AI 표준화 기구 참여 확대

기업 차원

  1. 차별화 집중: 한국어 및 산업 특화 영역에 자원 집중
  2. 파트너십 강화: 글로벌 클라우드 업체와의 전략적 제휴
  3. 인재 확보: 글로벌 AI 인재 유치 및 내부 역량 강화
  4. 장기 관점: 단기 수익보다 생태계 구축에 우선 투자

투자자 차원

  1. 장기 투자: AI 기술의 특성상 장기적 관점 필요
  2. 생태계 투자: 개별 기업보다 생태계 전체에 분산 투자
  3. 글로벌 연계: 해외 AI 기업과의 협력 투자 기회 모색

최종 전망

한국의 LLM 기반 비즈니스는 2025년을 전환점으로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부 주도의 체계적 지원과 민간 기업의 기술 혁신이 결합되어, 2027년까지 연간 1조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한국어 특화, 에이전트형 AI, 산업별 맞춤화라는 3대 차별화 요소를 바탕으로 글로벌 AI 생태계에서 독자적 지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성공의 핵심은 기술적 우수성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동시에 추진하면서, 생태계 전체의 상생 발전을 도모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보고서 작성: AI 비즈니스 전략 분석팀
데이터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업계 보고서, 기업 공시 자료
분석 기준일: 2025년 8월 5일


// 참조 데이터 출처 //

글로벌 LLM 시장 동향

  • PwC, "Midyear update 2025 AI predictions", 2025.07.24
  • Forbes, "The AI Models Replacing Fashion Models And Business Models", 2025.08.04
  • Nanalyze, "Can AI Agents Be an Agent of Revenue Growth for C3 AI?", 2025.07.09
  • HighAlpha, "How SaaS Companies Are Monetizing AI, and 5 Predictions for 2025", 2025.07.22

한국 AI 기업 및 정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독자 인공지능 기초 모형(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 정예팀 선정", 2025.08.04
  • CIO Korea, "한국 정부, K-AI 모델 개발 시동···정예팀 5곳와 함께하는 50여 개 기관은 어디?", 2025.08.05
  • 업스테이지 공시자료, 2021-2024 연결재무제표
  • 포브스코리아, "2025 대한민국 고속성장 스타트업 50", 2025.07.28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분석

  • Pablo Fernandez, "A better monetization model for LLM applications", 2025.07.21
  • ITRex Group, "Calculating the Cost of Generative AI", 2025.07.23
  • Amberflo, "Optimize AI and LLM Deployments with Operational Excellence", 2025.07.07
  • Globe Newswire, "Embedded LLM Launches First-of-its-Kind Monetisation Platform", 2025.07.22

업스테이지 솔라 프로 2 관련

  • For New Challenge 블로그, "솔라 프로 2: 업스테이지의 에이전트형 대규모 언어 모델", 2025.07.10
  • 요즘IT, "AI 기업 분석: xAI, 일론 머스크가 만드는 AI 초격차", 2025.07.30
  • KMJ, "노타AI... 글로벌 AI 최적화 리더의 탄생", 2025.08.05

학술 연구 자료

  • arXiv, "AI is the Strategy: From Agentic AI to Autonomous Business Models onto Strategy in the Age of AI", 2025
  • PhilPapers, "Review of Autonomous and Collaborative Agentic AI and Multi-Agent Systems for Enterprise Applications", 2025
  • CEIBS, "AI Industry Landscape Report 2025"
  • IEEE, "The cost perspective of adopting Large Language Model-as-a-Service", 2024

가격 및 시장 데이터

  • Google Cloud, "Vertex AI Pricing | Generative AI on Vertex AI", 2025.07.15
  • 각 LLM 제공업체 공식 가격 정책
  • 업계 벤치마크 및 성능 비교 데이터

보고서 작성: 데이터링크(주) 박종영
데이터 수집 기간: 2025년 7월~8월
분석 기준일: 2025년 8월 5일
분석 방법: 공개 자료 기반 정성적 분석, 정량적 지표 종합, 시장 조사 데이터 활용

기업 홍보를 위한 확실한 방법
협회 홈페이지에 회사정보를 보강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