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연구회
경남ICT협회 AI 연구 모임
(파워포인트와 구글 슬라이드의 근본적인 차이로 본 생성형 AI는 도구인가, 문화인가?)
datalink(박종영)
현대 기업 환경은 급변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우리가 사용하는 도구와 일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프레젠테이션 도구인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포인트와 구글 슬라이드의 차이는 단순히 기능적인 것을 넘어, 기업 문화와 조직 성장에 대한 깊은 철학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생성형 AI의 등장은 우리에게 더욱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생성형 AI를 도구로 볼 것인가, 문화로 볼 것인가?"
파워포인트와 구글 슬라이드가 보여준 철학적 차이는 AI 시대에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AI를 단순히 업무를 빠르고 화려하게 처리하는 도구로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조직 전체가 더 깊이 사고하고 창의적으로 협력하는 문화의 촉진제로 활용할 것인지에 따라, 기업의 미래는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통적인 프레젠테이션 도구인 파워포인트는 시각적으로 "현란한 다이어그램이나 도표" 를 쉽게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는 발표자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풍부하게 전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시각적 기교" 가 본질적인 "아이디어 자체" 로부터 관심을 멀어지게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간결하고 함축적인 언어로 작성된 파워포인트 보고서는 때로는 너무 압축적이어서 보고를 받는 사람들이 내용을 "이해하기 굉장히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심지어 같은 팀에서 만든 슬라이드라도 "해석이 다 달라" 팀의 의도와 다른 내용이 전달될 위험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에서는 발표자가 보고서의 "행간" 을 직접 설명해야 하는 비효율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구글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에서 벗어나려는 '아웃 오브 오피스(Out Of Office, O-O)'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구글 스프레드시트, 구글 닥스, 그리고 구글 슬라이드를 개발했습니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구글이 구글 슬라이드를 의도적으로 "불편하게"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바로 "현란한 기교를 못 부리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구글은 사람들이 시각적인 요소에 시간을 낭비하기보다는 "아이디어 자체에 집중" 하기를 원했습니다. 이는 구글이 직원들의 "엉덩이(단순 업무)"가 아닌 "머리(아이디어)" 를 쓰게 하기 위해 고액을 지불한다 는 철학을 반영합니다. 즉, 구글 슬라이드의 '불편함'은 단순한 기능적 결함이 아니라, "사람들의 머리를 열어서 아이디어가 샘솟게 하는 것이 유일한 목적" 이라는 구글의 조직 철학이 담긴 의도적인 설계인 것입니다.
구글보다 더 나아가, 아마존은 파워포인트 문화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한 독특한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6페이지 내러티브(6-page narrative)" 라는 방식인데, 이는 여섯 장 분량의 보고서를 " 도표나 다이어그램 없이 처음부터 글로만" 워드로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 보고서는 "고객에게 보고를 한다는 관점" 으로 작성되며, 일의 "최종 목적" 에 집중하게 합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회의 방식입니다. 아마존에서는 이 내러티브 보고서를 회의 전에 미리 공유하고, 회의 시작 시에는 5분 동안 다시 읽게 한 후 "발표 없이 바로 질문만"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파워포인트의 함축적인 보고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해석 차이 문제"를 해결하고, "실제 문제가 무엇인지 명확히" 파악하는 데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생성형 AI의 등장은 파워포인트와 구글 슬라이드가 제기했던 "도구인가, 문화인가?" 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더욱 첨예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조직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더 빠르고 화려한 파워포인트" 만들기에 집중
전통적 위계 구조의 강화
"더 깊은 사고"를 위한 AI 활용
수평적 협업 문화의 촉진
"도구형 AI 활용" - 기존 업무의 자동화 연장선
"문화형 AI 활용" - 조직 사고방식의 근본적 전환
"도구형" AI 회의 문화
"문화형" AI 회의 문화 (아마존 내러티브의 진화)
파워포인트와 구글 슬라이드, 그리고 아마존의 내러티브 방식의 차이는 단순히 소프트웨어의 기능 차이를 넘어 "일하는 방법의 혁신" 을 보여줍니다. 실리콘 밸리 기업들은 최고의 인재를 유치하고, 그들의 아이디어를 극대화하며, 투명하고 효율적인 소통을 통해 끊임없이 혁신을 추구합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가장 높은 포지션의 사람이 회의를 주재하고, 의제를 설정하며, 직접 진행하여 회의를 "아이디어를 이끌어내는 가장 효율적인 시간" 으로 활용합니다. 이는 단순히 지시 사항을 전달하고 복창하는 전통적인 회의 문화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모습입니다. 이러한 문화는 경영진이 "자신이 회사의 주인" 이라는 생각으로 "무언가를 바꾸는 것" 에 열정적인 인재들을 선발하고 함께 일할 때 더욱 빛을 발합니다.
도구형 AI 조직의 특징
문화형 AI 조직의 특징
제조업에서의 실제 사례 비교
결론적으로, 파워포인트와 구글 슬라이드, 그리고 이제 생성형 AI까지의 차이는 단순한 도구의 선택이 아니라, 기업이 어떤 가치를 추구하고 어떤 방식으로 혁신을 이루어 나갈 것인가에 대한 철학을 반영합니다.
파워포인트 → AI 도구형 활용
구글 슬라이드 → AI 문화형 활용
아마존 내러티브 → AI 협업 문화
생성형 AI라는 강력한 도구 앞에서 우리는 다시 한번 선택해야 합니다:
"더 화려하고 빠른 파워포인트"를 만들 것인가?
"더 깊이 생각하게 도와주는 구글 슬라이드"로 활용할 것인가?
특히 제조업에서 AI는 단순한 자동화의 연장선이 아닌, 조직 전체가 더 똑똑해지는 수단이어야 합니다. 현장 작업자의 수십 년 경험과 AI의 분석력이 만날 때, 그리고 그 만남이 서로를 더욱 발전시키는 선순환 구조로 이어질 때 진정한 혁신이 가능합니다.
기업들은 자신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에 맞춰 어떤 도구가, 그리고 어떤 일하는 방식이 가장 효과적일지 깊이 고민해야 합니다. 더 나아가, 생성형 AI라는 새로운 동반자와 함께 "우리는 AI로 무엇을 성취하고 싶은가?" 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명확한 답을 찾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입니다.
도구는 바뀔 수 있지만, 문화는 조직의 DNA가 됩니다.
기업 홍보를 위한 확실한 방법협회 홈페이지에 회사정보를 보강해 보세요.